우수상 (HomeCC Silver Prize)

와글 바글

박세은, 강예진, 주은혜

동덕여자대학교

발달장애 청소년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이 교류하는 ‘시끄러운 도서관’ 


공공도서관은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은 갑작스럽게 소리를 내거나, 뛰어다니는 특성이 있어 도서관을 이용하는 데 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렇기에 이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끄러운’ 도서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은 독서의 난이도가 비슷하고, 마음껏 뛰어놀며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들이 책을 매개체로 자연스럽게 교류한다면 비장애인은 다양성과 어울림의 가치를 배우고, 발달장애인은 사회성을 기르며 함께 성장할 수 있다.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이 모여 ‘와글 바글’한 도서관 속에서 만들어질 크고 작은 소리, 모임과 흩어짐의 순간을 수축과 팽창의 반복으로 표현하여 역동적인 형태의 공간을 형성했다. 


맨발로 자유롭게 눕고 엎드려 책을 읽어도, 소리 내어 뛰어다니며 놀아도, 누구도 제재하지 않는 ‘와글 바글’ 도서관이 발달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초등학생의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대한민국실내건축대전

우수상 (HomeCC Silver Prize)

와글 바글

박세은, 강예진, 주은혜

동덕여자대학교

발달장애 청소년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이 교류하는 ‘시끄러운 도서관’ 


공공도서관은 모든 사람들이 평등하게 정보와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공간이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은 갑작스럽게 소리를 내거나, 뛰어다니는 특성이 있어 도서관을 이용하는 데 에 어려움을 겪는다. 그렇기에 이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끄러운’ 도서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은 독서의 난이도가 비슷하고, 마음껏 뛰어놀며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들이 책을 매개체로 자연스럽게 교류한다면 비장애인은 다양성과 어울림의 가치를 배우고, 발달장애인은 사회성을 기르며 함께 성장할 수 있다.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 초등학생이 모여 ‘와글 바글’한 도서관 속에서 만들어질 크고 작은 소리, 모임과 흩어짐의 순간을 수축과 팽창의 반복으로 표현하여 역동적인 형태의 공간을 형성했다. 


맨발로 자유롭게 눕고 엎드려 책을 읽어도, 소리 내어 뛰어다니며 놀아도, 누구도 제재하지 않는 ‘와글 바글’ 도서관이 발달장애 청소년과 비장애 초등학생의 활발한 교류의 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서울 용산구 소월로 377
(한남동, 남산맨숀 )209호
TEL +82)2-508-8038
FAX 02-796-9271
KOSID
© 2024 (사)한국실내건축가협회


KOSID 


© 2024 (사)한국실내건축가협회

서울 용산구 소월로 377 (한남동, 남산맨숀) 209호
TEL +82) 2-508-8038 / FAX 02-796-9271
kosid@kosid.or.kr